미세현미경 협착 감압술
미세현미경 협착 감압술이란?

- ?미세현미경감압술(UBF)은 기존 수술과 달리 허리근육 손상이 거의 생기지 않고 수술 후 척추 불안정 상태도 생기지 않기 때문에 고령 및 전신 질환 환자들에게 적극 권장할 만한 수술법입니다.
등쪽을 최소한으로 절개한 뒤 미세 현미경으로 문제가 생긴 부위를 확대해 보면서 신경압박을 유발시키는 두툼해진 뼈와 인대를 부분적으로 제거해내고 반대측에까지도 시야를 확보한 후 병소를 제거하여 감압시키는 치료법입니다.
미세현미경을 이용한 척추 수술로 수술부위를 10~15배 정도 확대해주는 수술 현미경과 첨단 레이저 장비를 이용하기 때문에 매우 안정성이 뛰어난 수술법입니다. 또한 척추국소마취 하에 약 30분 정도 소요되는 간단한 수술로 미세현미경을 보면서 1.5cm~2cm 정도의 작은 구멍을 통해 척추관을 넓혀주는 수술법입니다.
일주일 정도의 입원치료를 필요로 하는 척추유압술(나사못 고정술)과 달리, 수술다음날부터 바로 움질일 수 있으며, 4~5일 안에 퇴원이 가능합니다. 허리 수술 후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허리통증이 눈에 띄게 줄고 수술 당일 보행이 가능합 정도로 회복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신체적으로 약하고 합병증을 갖기 쉬운 초고령층 환자들에게 특히 적당한 수술법입니다.
미세현미경 협착 감압술 수술방법
- 척추의 구조물을 제거해서 신경의 숨통을 트이게 하는 수술입니다.
척추관협착증이 심해서 보존적인 치료로 회복이 불가능한 환자분들에게 시행합니다. 등 허리 근막을 척추가시돌기까지 극간인대의 손상을 주지 않고 절개한 후 척추 후궁만을 노출시킨 뒤 편측절제술을 시행합니다.
미세현미경 협착 감압술의 적응증
- 디스크 탈출증
- 척추관협착증
- 통증의 정도가 아주 심해 견디기 힘들 때
- 치료를 오랫동안 해도 증상의 호전이 없을 때
- 발가락을 움직이는 근육이 마비되었을 때
- 대소변의 장애가 발생했을 때
미세현미경 협착 감압술의 장점
- 전신마취가 필요없습니다.
- 수혈이 필요없어 간염이나 에이즈 등의 감염 위험이 없습니다.
- 신경이나 주변 근육의 손상이 적고 부작용을 최소화하여 고혈압, 당뇨병, 골다공증 환자에게도 시술이 가능합니다.
- 90세의 고령자도 수술을 받을 수 있습니다.
- 시술 다음날 보행이 가능할 정도로 회복이 빠르고 통증이 거의 없습니다.
미세현미경 협착 감압술의 주의사항
- 척추관협착증과 같은 퇴행성 질환은 평상시의 생활습관과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. 무거운 것을 나르거나 허리를 너무 많이 움직이거나 하는 등 척추에 무리가 가는 행동을 하면 그만큼 척추에 부하가 가게 되어 퇴행성 변화를 촉진시키게 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. 또한 뼈 건강을 젊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규칙적인 운동뿐만 아니라 체중관리, 금연, 규칙적인 골밀도 체크 등을 해야 하며, 꾸준한 허리 강화 운동도 필요합니다.